어떤 종류의 폭력이던 가해자들의 공통적인 특성이 있다. 문제 제기를 하는 피해자들에게 순순히 가해 사실을 인정하고 잘못을 빌기보다 ‘뻔뻔하게 군다’는 것이다. ‘뭐 그런 것 가지고 그러느냐’며 피해자의 성격이 ‘너무 소심해서 그렇다’며 개인적인 성격 탓으로 돌려 버리는 파렴치한 짓을 서슴지 않는다. 가정폭력ㆍ성폭력의 가해자들 역시 마찬가지다. 무엇보다 대부분의 폭력은 일회성이 아니라 반복된다는 문제가 있다. 누구나 한 두 번은 실수로 남에게 과잉행동을 할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게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남들에게 피해를 준 것을 합리화 할 수는 없는 일이다. 어디까지나 잘못은 잘못이다. 잘못에 대한 용서는 전적으로 피해자의 몫임에 분명하다.
▲ 군대의 구타 사건을 다룬 영화 ‘용서받지 못한 자’의 한 장면. ⓒ 청어람
피해자는 혼자가 아니라 함께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만으로 큰 격려와 힘을 얻는다. 폭력은 폭력일 뿐 결코 다른 것일 수 없다. 폭력에 다른 의미를 부여하거나 토를 달아서는 안 된다. 그런 행동은 폭력에 가담해 가해자의 편에 서는 것과 다를 바 없다. ‘사람의 생명보다 더 소중한 것은 없다’고 한 예수의 말처럼 세상 어떤 것이라도 ‘인권’보다 더 우선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 만약 그런 게 있다면 ‘사기’임에 분명하다.
'성평등과 인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래가는 몸의 기억 (0) | 2008.01.20 |
---|---|
교회도 성폭력 문제에서 결코 자유롭지 않다! (0) | 2008.01.20 |
군복무 부적응 사고 ‘방아쇠’ (0) | 2008.01.18 |
아동 성폭행 가해자 21.4%가 근친이라고? (0) | 2008.01.17 |
‘×××의원실 1.4 시무식 회식자리 성폭력사건’에 대한 성평등강사단 성 (0) | 2008.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