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연하고 당당하게 대처하라’고 했다. 세종시에 관한 이명박 대통령의 주문은 흡사 50년대 한일전 원정 경기에 출전하는 선수들을 향한 감독의 말과 같다. 뒤에 숨겨진 말은 행여나 ‘승부가 틀어지면 함께 죽자’쯤 될 것이다. 합리적인 토론과 절차적인 정당함에 근거하여 추진하면 그 뿐일 정책 수행 과정이 ‘의연’과 ‘당당’이라고 하는 지사같은 비장함으로 과포장되는 상항은 그렇다. 세종시가 이미 합리성을 잃고 휘청거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 지난 12월 27일 전국 35개 방송사에서 생중계된 ‘특별생방송 대통령과의 대화’ 모습(사진:청와대 홈페이지)
역사와의 대화, 국가의 백년지계를 유독 강조하고 있는 MB의 수사는 그 자체로 이성에서 많이 일탈한 초조한 자기감정의 과잉된 고백일 뿐이다. 언젠가 MB의 세종시가 의도했건 하지 않았건 어쩔 수 없이 정치 공학 차원의 전개와 결론을 맺을 수밖에 없을 것이란 글을 본 적이 있다. 지금 상황이 그렇게 흐르고 있다. 박근혜를 견제하기 위해 세종시를 던지고, 정운찬을 ‘일회용 구원투수’로 기용했던 것인데, 그 전장은 이제 김문수와 정몽준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MB주최 ‘세종시 쟁탈배’ 정치의 속셈대회가 열린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