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인이지만 개인이 아닌 공인에 대한 평가는 냉정하게
세상을 떠난 사람을 바로 비판 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는 말을 많이 들었고, 저 역시 그 말에 공감하고 동의합니다. 더구나 한국천주교의 상징적인 인물이기에 더 신중하지 않을 수 없어 밤을 지새우며 고민을 했습니다. 그러나 ‘비판의 성역은 없다’는 평소의 신념대로 글을 쓰며, 제가 지금 처한 특수한 환경 때문에 자료가 빈약하다는 말씀을 먼저 드립니다. 김수환이란 이름은 개인이 아닌 종교지도자이니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는 게 맞을 것 같습니다.
공인이요 한국천주교 최초의 추기경이란 중책을 맡은 사람이니 일반인들과 같은 잣대로 평가해서는 안 되고, 오히려 더 냉엄한 평가와 비판을 하는 게 옳다고 봅니다. 제 종형 한 분이 서른여덟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살아계시면 쉰여덟이니 그 시절에 일류대학에 대학원까지 나왔으니 잘 나갔지요. 선산에 묻히기 전 집 근처에서 노제를 지냈는데 “남들에게 그렇게 모질게 하더니 자식이 먼저 죽는 험한 꼴 본다.”는 동네 사람들의 수군거리는 소리에 가까이 사시는 작은 고모는 피눈물을 쏟았다고 합니다.
업어서 키운 조카의 죽음 앞에 마냥 눈물만 나올 뿐인데 ‘안 됐다’는 말은 없고 ‘자식 먼저 죽는 험한 꼴 본다’고 하니 억장이 무너질 수 밖에 없지요. 개인에게도 그런데 한국천주교의 상징적인 인물이라면 마냥 애도만 할 게 아니라 공과에 대한 냉엄한 평가와 비판을 해야 한다는 것은 지극히 상식입니다. 칠순의 어느 추모객은 “국민의 정신적 지도자였고 그 분의 말씀은 우리 민족의 나침반 역할을 했다.”며 애도 하셨는데 과연 그랬는지 차분히 돌아보지 않으면 안 됩니다.
천주교의 부일 행위에 대한 비판
이또오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 의사를 복권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도 공개적으로 해명하고 사과해야 합니다. 민족해방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 의인에 대한 명예회복은 커녕 지난 날 더럽히고 짓밟은 잘못을 고백하는 것은 너무나도 당연한 일이지 결코 선택 사항이 아닙니다. 일제 치하 한국천주교회는 아무런 저항조차 하지 않고 일제의 신사참배를 받아들였습니다. 신사참배란 게 목숨이 왔다 갔다 할 정도의 무자비한 탄압이 아니었다는 것은 역사를 통해 우린 잘 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