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적인 신학을 펼친다는 뉴욕 맨하튼 유니온 신학대학교. 이 학교 최초의 동양인 종신교수인 현경 교수는 지난 2006년 크리스마스 연휴 뒤 끔찍한 전화 메시지를 받았다. “제 수업을 들은 학생이라면서, 네가 존경하는 체게바라 남미 혁명가와 북에 가서 둘 다 목을 자르라는 아주 무서운 말을 남겼더라고요. 그리고는 여성에게는 그야말로 치욕적인 ‘멍청한 XX’(You stupid cunt)라고 했어요.” 지난 4일, 뉴욕 맨하튼 유니온 신학대학교 교수연구실에서 기자와 만난 현경 교수는 당시 상황을 떠올리며 몸서리쳤다.
▲ 현경 교수 현경 유니온 신학대학교 교수가 이번 협박 사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그는 지난 11년간 이 학교에서 여성신학과 평화, 종교간 대화 등 진보적인 주제로 강의를 해왔다. 특히 2006년에 학기 중 부시 행정부의 대북, 대 이슬람 정책의 잘못된 점에 대해 강의를 한 바 있다. 현경 교수는 당시 수업을 들은 학생 정도로만 생각하고 그냥 넘어 갔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크리스마스엔 현경 교수 사무실 앞에 걸린 쿠바 혁명가 체게바라의 포스터에 엑스표시와 함께 체게바라 이마에 나치의 상징 문양이 그려진 것을 발견했다. 2005년 크리스마스 전후 두 차례나 자신의 집에 있는 조각상의 머리가 잘려 나간 경험까지 더하면 3년 연속으로 크리스마스 때마다 생명의 위협을 느낄만한 협박을 받은 것.
현경 교수, 크리스마스 때마다 협박 받아
조각상은 멕시코의 혁명 예술가로 유명한 디에고 리베라의 대표작 모조품이었다. 결국 다른 방식이긴 했지만 현경 교수가 진보적이고, 체게베라를 존경하고 있다는 등 그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의 행동이었을 가능성이 커졌다. 더 이상 우연이 아님을 느낀 현경 교수는 지난 4일 경찰에 신고했다. 물론 학교 측에도 이 사실을 알렸다. 현경 교수는 사실 이번 역시 그냥 넘어가려 했지만 마음을 바꿨다. 가장 큰 이유는 길 건너에 위치한 컬럼비아대학에서도 비슷한 일이 계속 일어났기 때문.
“우리 학교 역사상 이런 일이 없었대요. 그런데 지난해 컬럼비아 대학에서도 흑인 여자 교수의 사무실 앞에 ‘누즈’(Noose)라고 흑인들을 교수형 시켰던 끈을 달아놨던 일이 있었어요. 또 유태인 교수의 사무실 앞에다가는 ‘나치’ 표시를 해놓는 일도 벌어졌어요.” 현경 교수는 “미국 사회가 보수화되면서 이슬람 등 다른 문화나 인종에 대한 인종차별적 분위기가 진보적인 학풍의 컬럼비아나 유니온 신학대학의 젊은이들까지 망가뜨리고 있다”며 “이번 사건을 공식화해서 다시 재발하지 않도록 학생들에게도 알려야 할 것 같았다”고 심경 변화 이유를 밝혔다.
그는 이어 “내 안전도 걱정됐지만 더 슬펐던 것은 어떻게 우리 학교(유니온 신학대학교) 같이 진보적인 학교에서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었을까 가슴이 아팠다”고 안타까워했다. 이와 관련, 유니온 신학대학교 측은 재발을 막기 위해 범인이 밝혀지면 법적인 절차를 밟을 계획. 4일 만난 매리 맥나마라 유니온 신학대학교 부총장은 “우선 총장 명의로 전체 학생들에게 이번 사건에 대한 전체 공고가 나갔다”며 “더 많은 절차가 필요하지만 앞으로 현경 교수의 사무실과 집 앞에 CCTV를 설치하고, 경찰이 매 8시간마다 그의 안전을 위해 순찰을 돌 예정”이라고 밝혔다. 학교 측은 개강 뒤인 2월 이후 더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현경 교수는 동일인이든 아니든 만약 자수를 한다면 인도적인 차원에서 법적 책임까지 묻게 하고 싶지 않다는 입장이다. (오마이뉴스/강이종행 기자)
'성평등과 인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동 성폭행 가해자 21.4%가 근친이라고? (0) | 2008.01.17 |
---|---|
‘×××의원실 1.4 시무식 회식자리 성폭력사건’에 대한 성평등강사단 성 (0) | 2008.01.17 |
사랑이란 두 글자.... (0) | 2007.12.28 |
권영길 후보 여성 지지선언 (0) | 2007.12.14 |
짜릿한 첫 경험을 한 어리숙한 그들 (0) | 2007.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