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과 민중

이랜드 노동자 “우린 꼭 승리하고 싶다”

녹색세상 2007. 7. 30. 00:07

                                 세계 인권 규약

“노동조합의 파업을 공권력으로 파괴해서는 안 된다”

 


 

  29일 이랜드 그룹 노동자들의 2차 점거농성이 강남 뉴코아 백화점 옆 킴스클럽에서 돌입한 가운데 강남 뉴코아 백화점 앞에서는 오전 10시 민주노동당을 비롯한 시민사회단체의 연대 집회가 개최된데 이어 저녁에는 뉴코아-홈에버 투쟁문화제가 개최되 투쟁의 열기가 뜨거워 지고 있다. 뉴코아 강남점 앞에는 농성현장 사수를 위해 노숙 철야농성을 결의한 민주노동당 당원을 비롯한 시민단체 회원들이 자리를 함께하고 있다.

 

 △ 7시에 열린 문화제에 참석한 참가자들.

 

  이날 새벽 이랜드 그룹 노동자들은 농성에 돌입하면서 “오늘 우리 뉴코아 - 이랜드 노동자들은 또다시 매장을 점거했습니다. 오늘 우리는 끌려나오는 한이 있어도 내 발로 이곳을 나가지 않겠다는 각오로, 아니 승리하기 전에는 절대 이 매장에서 나오지 않겠다는 각오로 이곳에 들어왔습니다”라고 말하며 “우리에게 향하는 동지들의 마음 하나하나, 발길 하나하나가 우리를 지지하는 굳건한 버팀목이 되어 기필코 이 투쟁을 승리로 이끌 것”이라고 각오를 밝혔다. 이랜드 그룹 노동자들이 점거 농성에 돌입하자 뉴코아 강남점과 킴스클럽 사이의 공간에 민주노동당 당원과 민주노총 조합원을 비롯한 수백 명의 대오가 결집해 이랜드 그룹 노동자들의 투쟁을 지원했고, 민주노동당 심상정, 노회찬 대선 예비후보의 지지방문이 계속이어졌다.

  민주노동당은 29일 대변인 논평을 통해 “이랜드 사측이 해야 할 일은 지금 당장 성실한 교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왜곡된 사실로 여론을 뒤집을 궁리하지 말고, 당장 절박한 노동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다. 아무리 왜곡하고 싶더라도 회장의 개인 헌금 130억 원과 월급 80만 원 노동자의 대량해고라는 어처구니 없는 현실의 대비는 뒤집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밝히고, “정부가 해야 할 일은 탈법과 부당노동행위를 일삼아 온 이랜드 자본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취하는 일이다. 교섭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는 이랜드 사측에 대해 강력하게 대응해야 한다. 정부는 공권력 투입을 예고함으로써 사측이 교섭을 방기하도록 만든 엄청난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자각해야 한다”며 “민주노동당은 이랜드 노동자들의 투쟁에 끝까지 함께 할 것이며, 매장 재농성에 돌입한 노동자들을 최선을 다해 엄호할 것”을 밝혔다.

  이날 농성 현장에서는 국민의 절반 이상이 이랜드 사태의 책임이 정부에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뉴코아-이랜드 공동대책위는 29일 오후 2시 기자회견을 통해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 중 50.4%는 사태의 책임이 정부에 있으며 27.2%가 이랜드 사측에 있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사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는 `사측의 고용안정 우선 보장'(56.7%)이 `노조의단체행동 우선 중단'(32.6%)이란 견해보다 많았고, 경찰의 농성장 투입에 대해서는 반대(60.5%)가 찬성(32.8%) 의견의 2배 가까이 됐다.

  또한 비정규직법 논란을 두고는 `문제점이 많아 다시 만들어야 한다'는 응답이 73.6%로 `현행법을 잘 지키면 된다'(18.9%)는 응답보다 훨씬 많았다. 이번 여론조사는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의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24일과 25일 양일간 실시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7%P이다.

  한편 이날 현장에서는 사측의 용역깡패들이 침탈 난동극을 벌이는 등 조합원들의 신변을 위협하기도 했다. 뉴코아강남점 농성현장 사측 구사대와 용역깡패 집단난동 현장소식을 접한 연대단체 성원 등이 농성장 밖에서 대기하면서 농성대오를 지키기로 했고, 사회단체들도 이날 긴급회의를 열어 뉴코아강남점 농성현장 사수를 위해 노숙 철야농성을 결의했다. (진보정치 퍼옴)

 

 △ 지지발언을 하고 있는 문성현 당대표 ⓒ 미디어위원회 정택용 기자

 △ 정종권 서울시당 위원장 ⓒ 미디어위원회  

 △ 문화제에 참석한 심상정 대선 예비후보, 문성현 당 대표, 김성희 비정규노동센터 소장(좌로부터). ⓒ 미디어위원회 정택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