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정치

독자파인 윤희용, 왜 통합을 말하는가?

녹색세상 2011. 12. 28. 11:04

 

이른바 독자파라 불리지만 사람을 구분하는 걸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독자파란 말이 분류가 아닌 ‘민중의 독자적인 정치세력화’란 원론적인 주장을 하는 철없는 중년으로 봐 주는 것이라면 고맙게 받아들이려 한다. 통합 논의와 관련해 독자를 주장했으나 이제 통합의 정치를 말하니 의아해 할지 모르겠다. 통합연대로 가지 않고 남기로 한 당원들이 나와 견해가 다르다고 해서 백안시 하는 건 잘못이다. 같은 당에 있는 사람을 투명인간처럼 대하는 건 예의가 아니다.


누구나 다양한 정치적인 견해를 갖고 활동하도록 보장해야 한다. 다만 ‘조직의 결정과 합의에 따른다’는 명제가 전제 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통합 논의를 그치면서 진보신당의 대표 권한이 그렇게 막강한지 몰랐다. 노무현 정권 시절 평택 미군기지 확장을 위해 군 병력을 동원해 민간인을 진압한 여명의 황새울 작전, 헌법기관인 국회의원들 조차 접근하지 못하도록 봉쇄한 상태에서 밀어 붙인 ‘한미FTA’를 보면서 대통령의 권한이 절대적이란 걸 안 것 처럼.


홍세화 대표도  권한 분산을 위해 당헌과 당규 개정을 언급한 것은 이런 문제를 의식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민주적인 당 운영을 위해 당헌ㆍ당규는 반드시 개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대표가 전국위원회 의장을 겸하는 규정은 지금 당장 바꾸지 않으면 안 되는 조항으로 의장을 따로 선출하는 한나라당 보다 못하다. 그리고, 대표가 당의 책임자니 인사권을 갖는 게 맞다. 그렇지만 대표의 인사권이 제대로 되었는지 검증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할 방법이 전혀 없다.


당헌은 당 대회에서 개정해야 하고, 당규는 전국위원회에서 개정한다. 3분의 2찬성을 얻어야 하니 이른바 통합파의 도움이 없으면 절대 불가능하다. ‘당헌ㆍ당규 개정 심의원회(가칭) 구성 단계에서부터 통합파에게 지분을 인정해 줘야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 자신의 실체를 존중하지 않는데 누가 움직인단 말인가? 아무리 독립적인 기구라 해도 인사위원회 구성 역시 마찬가지로 40퍼센트 정도는 인정해야만 가능하다. 이때 협상이란 구체적인 정치력이 필요하다. 이게 바로 통합의 정치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