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예술

30대 여배우가 20대 여배우보다 아름다운 이유.

녹색세상 2008. 1. 27. 14:14

개봉 2주 만에 전국 관객 200만명을 돌파하며 스포츠 영화로 유례없는 대박 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의 열기가 매우 뜨겁습니다. 7주 만에 한국 영화가 박스오피스 1위를 탈환한데다가 ‘세 친구, 와이키키 브라더스’ 의 작가주의 감독 임순례가 한층 가벼워진 모습으로 대중 영화를 선 보였다는 점, 스포츠 영화에 여성 영화라는 한계에도 불구 30~40대 중년층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는 점 모두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의 흥행 열풍에 가볍지 않은 역할을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에서 역시 가장 빛나는 것은 바로 배우들입니다. 특히 쓰리톱이라고 할 수 있는 문소리, 김정은, 김지영은 영화 속에서 균형추를 잘 맞추며 부담스럽지도, 가볍지도 않은 연기력으로 영화 속 캐릭터와 혼연일체 되어 ‘우생순’을 빛내고 있는 명 연기자들입니다. ‘우생순’에서 열연을 펼치는 그녀들의 모습을 보면서 문득 생각나는 단어 하나가 있었습니다. 바로 '아름다움' 이었습니다. 20대의 젊음이 주는 방황과 열정의 시간을 지나 어느덧 완숙미에 이른 30대 여배우들의 아름다움. 왜 30대 여배우들은 20대 여배우들보다 아름다운 것일까요?


과거 연예계에서는 “여배우 나이 30이 지나면 은퇴해야 한다.”는 속설이 공공연히 들릴 정도로 여배우에게 나이 들어 간다는 것은 치명적인 결격사유였습니다. 연기자로 먼저 데뷔했지만 이제는 라디오 DJ로 더욱 유명한 최유라는 “30살이 넘어가면서 할 수 있는 역할이 너무 줄어들었어요. 엄마를 하기엔 젊고, 20대를 연기하기엔 늙어버린 어정쩡한 나이.... 아마 30대 여배우들이 공통적으로 안고 가는 고민이 아닐까 싶어요.”라는 말로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었으니까요.


그러나 90년대가 지나고 2000년대가 도래하면서 여배우의 나이에 대한 편견은 서서히 사라지고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지금 TV 와 영화에서 활약하고 있는 여배우들의 나이를 따져보면 족히 30살이 넘는 배우들이 훨씬 많습니다. 이젠 자타가 공인하는 연기파 배우로 성장한 전도연을 중심으로 김혜수, 엄정화, 염정아, 문소리, 김정은, 김지수, 예지원, 김윤진, 이미연, 이미숙 등이 스크린을 종횡무진 하고 있고 TV 드라마에서도 채시라, 하희라, 김희애, 오연수, 유호정, 최진실, 김지호, 신애라, 황신혜, 최명길, 배종옥, 하유미, 김여진, 성현아, 한고은 등이 20대 못지 않은 '전성기' 를 누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왜 이들은 젊고 예쁜 20대 여배우들을 제치고 드라마와 영화를 장악할 수 있었던 것일까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역시 작품 관계자들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연기력’이라고 봅니다.


어떤 캐릭터를 맡겨 놓아도 넉넉히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 버리는 재능을 가진 30대 여배우들에게서 나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숫자에 불과한 악세서리 정도일 테니 말입니다. 요즘 잘 나간다는 20대 여배우들의 연기를 보면 한숨부터 나올 때가 많습니다. 드라마 흥행 실패를 감독과 작가 탓으로 돌리고 나는 억울하다며 생떼를 쓰는 여배우도 있고, 예쁜 외모와 좋은 학벌에도 불구하고 연기는 언제나 제자리걸음을 걷는 여배우도 있습니다. 그저 그런 트렌디 드라마에 나와서 그저 그런 연기를 해 버리는 여배우들도, 마치 국어책을 읽는 듯한 바가지 대사만 쏟아 부어놓고 학예회 유치원생처럼 퇴장해 버리는 여배우들도 있구요. 그런 젊은 20대 여배우들을 보고 있노라면 생기발랄한 젊음과 매력 넘치는 미모와는 상관없이 짜증이 솟구칩니다. 그야말로 얼굴에 “나 연기하고 있어요.”를 써 붙이고 연기를 하고 있으니 그럴 만도 하지요.

 

 

그러나 30대 여배우들의 연기에는 그런 것이 없습니다. “나 연기하고 있어요.”를 써 붙이고 다니는 어색한 미숙성, 상대방을 배려하는 듯하면서 주위를 지나치게 의식하는 겉포장, 생글생글 웃는 얼굴로 인형처럼 앉아있는 의도적인 예의바름이 그녀들에게는 보이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녀들에게는 자신을 죽이고 사람도 죽이고 오로지 영화 속 캐릭터 하나에만 매달려 있는 ‘전문 직업인’ 의 시큼한 땀 냄새와 삶이 주는 여유에 웃음 지으며 이야기 할 수 있는 자연스러움이 살아 숨 쉽니다. 그것이 바로 20대가 가지지 못한 30대 여배우만의 관록이며 연륜이고, 진정한 ‘아름다움’ 이죠. 30대 여배우들은 연기할 때나 말할 때나 딱 그들만큼 솔직하고 진솔합니다. 연기를 죽도록 못할 때에는 “나 연기 진짜 못했어요. 캐릭터가 이해가 안 돼서.”라고 까놓고 들어오고, 연기가 무엇이냐고 물어보면 “연기가 뭐예요? 난 아직도 모르겠다.”며 진지한 물음을 되돌리기도 하지요.


그러나 그런 솔직함 속에는 30대 여배우들만이 지니고 있는 연기에 대한 진지한 물음과 갈망이 숨겨져 있습니다. 그들의 그런 수많은 고민과 생각들이 있기에 우리는 30대 여배우들의 연기에서 깊은 내면의 진솔한 ‘인간미’를 느끼게 되는 것이겠지요. 젊고 예쁜 만큼 많은 것을 관리하고 돌봐야 하는 20대 여배우들의 꽉 막힌 ‘상품성’을 넘어서서 가식적인 따뜻함이나 배타적인 차가움은 거세된 채 오로지 ‘인간 대 인간’으로 사람들 앞에 홀연히 서 있는 듯한 그녀들의 연기는 그 어떤 말로도 형언할 수 없는 아름다움이며 진짜 ‘예술’입니다.


2007년 최고의 한 해를 보냈던 충무로의 대표적인 영화배우인 전도연은 자신의 연기관에 대해 이런 말을 남겼습니다. “시나리오를 받아 보고, 캐릭터와 호흡을 맞춰 가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바로 인간 전도연을 어떻게 넘어서고 부술 수 있느냐는 거예요. 철저하게 인간 전도연을 깨부수고 벗어나야지만 연기가 돼요. 나를 넘어서지 못하고서는 그건 나 일 뿐이지 작품 속 캐릭터가 아니니까요.” 2008년 ‘우생순’의 흥행으로 다시 한 번 연기력과 흥행력을 검증 받은 배우 문소리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연기를 어떻게 해야 할 지 잘 모르겠어요. 한 군데에서 10년이 넘게 일하면 장인 소리를 듣는다는데 우리 연기자들은 그렇지 않거든요. 시나리오를 받아 보면 어떻게 연기해야 하지 어떻게 표현해야하지 겁나고 걱정 돼요. 항상 처음 새로 시작하는 듯해서 나는 연기가 아직도 뭔 지 잘 모르겠어요.”


브라운관의 대표적인 지성파 배우이자 똑 부러지는 카리스마로 시청자들을 사로잡는 배우 배종옥은 ‘나이가 들어간다는 것은 어떤 것이냐?’는 질문에 “배우가 나이를 먹어가면서 좋은 점은 연기를 할 때 무표정한 상태에서도 감정이 자연스럽게 묻어 나온다는 거예요. 나이 들어갈수록 깊어진다고나 할까? 그게 제 꿈이기도 하고 장점이기도 해요.”라며 똑 부러진 답을 하기도 했죠. 그들의 ‘연기관’에는 한결같이 “어떻게 하면 연기를 더 잘할 수 있을까?”는 고민이 넘쳐흐릅니다. 이만하면 됐어, 이 정도면 괜찮지 뭐 하는 두루뭉술함 대신에 새로운 것을 새롭게 받아들여야 한다는 떨림과 고뇌, 상념과 고민이 복잡하게 혼재되어 있지요. 이건 실제로 그녀들의 연기만큼이나 입체적이고 복합적이어서 가벼운 말투로 툭툭 내던진다고 할지라도 묵직하고 무거운 의미로 사람들에게 다가 옵니다. 그녀들의 연기를 보고 그 연기에 감동하고 그 연기에 영혼을 내 맡겼던 관객들이 '연기' 에 대한 그들의 고민과 생각을 공유하게 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 셈입니다.


 

자, 이제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서 결론을 내 볼까요? 30대 여배우들이 20대 여배우들보다 아름다운 이유는 ‘연기력’ 뿐만 아니라 30대가 지니고 있는 ‘인간미’와 인간이 지닐 수 있는 ‘여유로움’ 과 전문 직업인으로서의 ‘프로다움’과 프로다운 생각이 만든 ‘고민과 고뇌’ 때문입니다. 단순히 연기력만이 아니라 인간으로서 받아들이고 인정할 수 있다는 자체가 바로 30대 여배우들이 지니고 있는 가장 큰 장점이자 아름다움인 것입니다. 20대 여배우들의 젊음을 뛰어 넘어 30대 여배우들의 완숙미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시대가 온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입니다.


30대 여배우들의 수가 점점 늘어날수록 드라마와 영화는 풍성해 질 것이며 만들어 낼 수 있는 캐릭터와 작품도 무궁무진하게 바뀔 테니까요. 이는 물론 30대 여배우들을 위한 작품과 시나리오가 꾸준히 만들어 질 때에만 가능한 일이겠지만 말입니다. 최근 충무로에서는 흥행 ‘찬바람’이 불면서 전도연 같은 톱 배우도 시나리오가 없어 고생했을 정도로 여배우들을 위한 작품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나 남자배우들 못지않게 여배우들이 살아나야 충무로가 살아날 수 있고, 인생과 인간을 녹여내는 여배우들이 존재해야만 한국 영화도 존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좋은 여배우들이 좋은 시나리오를 만나서 좋은 작품을 내 놓는 것만큼 한국 영화계에 좋은 ‘축복’이 또 어디 있을까요.

 

 

헐리우드에서는 미셸 파이퍼, 헬렌 미렌, 메릴 스트립 등 ‘노장’들이 여전히 활약하고 있고 그들을 위한 영화가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영화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을 계기로 여배우들의, 여배우들에 의한, 여배우들을 위한 영화를 만들어야 하고, 젊음과 생기발랄함을 지나 삶의 완숙미를 표현하는 단계에 다다른 수많은 ‘늙은 여배우들의 아름다움’을 존중하고 존경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미연의 말처럼 ‘시간이 지날수록 깊어지는 눈빛을 지닌 여배우’들을 그저 남자배우들의 들러리로, 작품을 홍보하는 얼굴마담으로 사용하기에는 그녀들의 묵직한 존재감이 너무 아깝지 않나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아름다운’ 그들에게 아름다운 작품과 아름다운 장밋빛 미래가 가득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쓴 이 글을, 또한 그들의 아름다운 연기에 감동해 우리도 그들처럼 ‘아름다워지고 싶은’ 마음으로 쓴 이 글을, 여배우들의 깊어가는 눈빛을 사랑하는 아름다운 사람들과 날이 갈수록 아름다워지는 이 세상 모든 여배우들에게 바칩니다. (블로거뉴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