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곳간 털어 부자 지갑 채워주는 이명박 정권 정말 징글징글합니다. 환율 폭등, 주가, 채권의 폭락 등 9월 위기설 현실화에 대한 공포감으로 국민들이 긴장하고 있는 이때에 부자들 곳간을 채워주기 위해 나라 곳간 터는 짓을 하다니요? 5조원 감세면 대학생들 학비를 모두 면제해 줄 수 있는 예산이라는데 이게 부자들 주머니 속으로 고스란히 들.. 만화 만평 2008.09.04
사방이 명박산성, 늙은 신부는 오채투지로 저항합니다! 오체투지(五體投地), 순례의 길을 떠나며 다시 순례의 길을 떠납니다. 다리 불편한 스님과 늙은 사제입니다. 이 둘이 오체투지, 온 몸을 땅에 내리고 보듬으며 갑니다. 가늠도 안 되게 고되고 하염없이 느린 길을 기꺼이 갑니다. 허나 우리의 고행이 도리어 생명의 길, 희망의 길이 되길 바랍니다. 이 순.. 문화 예술 2008.09.04
절을 찾아간 목사들, 불교계 요구 지지한다. 기독교교회협의회 권오성 목사, 조계종 총무원장 방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 권오성 총무(목사)와 김광준 종교간 대화위원장이 3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 견지동 조계종 총무원에서 지관 총무원장을 만나 최근 벌어진 공직사회의 종교편향 사태에 대해 위로하고 불교계 요구가 정당하다는 지지 .. 카테고리 없음 2008.09.04
외환위기 주범, 강만수의 계속되는 사기 1997년 갑자기 불어 닥친 외환위기, IMF사태로 부르기도 하죠. 당시 재경부 담당 국장이었던 강만수는 ‘한국 졍제 기초는 튼튼하다’며 외환위기 경고하는 목소리를 일축해 버렸습니다. 그러고는 강만수는 잘려 어디론가 쳐 박혀 버렸다가 이명박과 같은 교회인 ‘소로 망할 교회’에 다니는 인연으로.. 만화 만평 2008.09.03
외환위기설 보다 강만수가 더 무섭다 환율 폭탄 키운 정부…다시 고개 든 ‘강만수 퇴진론’ “정부를 믿지 못하는 것이죠. 어제와 그저께 상황은 한 마디로 정부에 대한 불신을 넘어섰다고 봐야지. 누구는 ‘시장의 반란’이라고 하던데…(웃음)” 9월3일 아침 일찍 한 대형증권사 고위 임원과 나눈 이야기다. 최근 국내 금융시장이 대혼.. 정치 경제 2008.09.03
외신은 연일 ‘위기’… 정부는 ‘과장’ 반박 국제 금융시장에서는 한국의 경제 상황이 좋지 않다는 분석 자료를 내놓고 있다. 이에 정부는 ‘9월 위기설’을 일축하며 외국 언론의 보도에 반박하는 등 진화에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2일 기자회견을 자청해 영국의 유력지 ‘더 타임스’가 ‘한국 9월 위기 가능성’을 보도한 데 대해 반박하고 반.. 정치 경제 2008.09.03
이명박 지지율 급폭락 ! 올림픽 기간 상승세를 보이던 이명박 대통령의 국정지지도가 다시 폭락했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3일 발표한 주간정례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잘 하고 있다'는 긍정평가는 20.2%로 나타났다. 반면 '잘 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62.1%였다. 지난주에 비해 긍정평가는 9%포인트.. 정치 경제 2008.09.03
외환위기 바로 눈 앞 임에도 이명박 정부는 헛발질만 연일 주가가 붕괴하고 환율이 폭등하고 있습니다. 1997년 외환위기의 주범인 강만수를 경제 정책의 책임자로 임명한 것부터가 잘못이죠. 강만수는 또 고 환율 정책일변도로 나가 재벌들의 아가리만 즐겁게 해 배만 가득 채워 주었습니다. 대외 무역 의존도가 어느 나라보다 높음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 만화 만평 2008.09.03
정부 ‘문제없다’ 말만 되풀이 ‘진짜 문제’ 부른다 “9월 위기설 과장” 불구 환율은 또 ‘뜀발질’ 전문가들 “정부불신 계속 땐 위기설 가속” “‘9월 위기설’은 근거가 없다.” “금융시장의 쏠림 현상에 단호히 대처하겠다.” 기획재정부가 예정보다 하루 앞당겨 급히 연 2일 경제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김동수 기획재정부 1차관은 이렇게 말했.. 정치 경제 2008.09.03
김동길 ‘불교 시위에 배후세력 밝혀야’, 너무 심한 망발.... 유혈 종교분쟁 벌어지면 ‘적화통일론자만 만세’ 기독교 신자인 김동길 연세대 명예교수가 “불교 승려들의 집단 시위에 배후세력이 있는지 없는지, 정보·수사 당국은 만전을 기하여 사실을 사실대로 밝혀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명박 정부의 종교편향 시정을 요구하는 불교계의 분노에 ‘.. 문화 예술 2008.09.03